본문 바로가기
창업 레시피

아파트 매매 시 계약금 비율, 얼마나 언제 줘야할까

by 주니꼬 2025. 4. 6.
728x90
반응형
SMALL

아파트 매매는 복잡하고 중요한 거래이므로 신중하게 진행해야 합니다.


💢 다음은 아파트 매매 절차와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.


📌 1. 매매 준비 단계

🔺️ 매물 탐색 및 시세 조사
   * 온라인 부동산 플랫폼, 부동산 중개업소 방문 등을 통해 원하는 지역, 가격대의 매물을 탐색합니다.
   *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등을 통해 해당 지역의 아파트 시세를 조사합니다.
🔺️ 자금 계획 수립
   * 자기자본, 대출 가능 금액 등을 고려하여 매수 가능한 범위를 설정합니다.
   * 취득세, 중개 수수료, 법무사 비용 등 부대 비용을 고려합니다.
🔺️ 부동산 중개업소 선정
   * 신뢰할 수 있는 부동산 중개업소를 선정하여 매매 과정을 진행합니다.


📌 2. 매매 계약 단계

🔺️ 매물 확인 및 계약 조건 협의
   * 등기부등본, 건축물대장 등을 통해 권리 관계, 하자 유무 등을 확인합니다.
   * 매매 가격, 계약금, 잔금 지급일 등 계약 조건을 협의합니다.
🔺️ 매매 계약 체결
   * 부동산 매매 계약서를 작성하고 계약금을 지급합니다.
   * 계약서 작성 시 특약 사항 등을 꼼꼼히 확인합니다.
🔺️ 부동산 거래 신고
   * 계약 체결 후 30일 이내에 시·군·구청에 부동산 거래 신고를 합니다.


📌 3. 잔금 지급 및 소유권 이전 단계

🔺️ 잔금 지급
   * 약정한 잔금 지급일에 잔금을 지급합니다.
   * 잔금 지급 시 등기 관련 서류를 확인합니다.
🔺️ 소유권 이전 등기
   * 법무사를 통해 소유권 이전 등기를 신청합니다.
   * 등기 완료 후 등기권리증을 수령합니다.
🔺️ 세금 납부
   * 취득세, 지방교육세 등 관련 세금을 납부합니다.


📌 4. 매매 시 유의사항

🔺️ 부동산 권리 관계 확인
   * 등기부등본을 통해 소유자, 근저당권 설정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.
   * 미등기 건물, 불법 건축물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🔺️ 계약서 작성 시 주의
   * 계약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고 특약 사항 등을 명확히 기재합니다.
   * 계약 해제 조건, 위약금 등을 명확히 합니다.
🔺️ 중개 수수료 및 부대 비용 확인
   * 중개 수수료율을 확인하고 협의합니다.
   * 취득세, 법무사 비용 등 부대 비용을 미리 확인합니다.


📌 5. 필요 서류

🔺️ 매도인
   * 등기권리증, 신분증, 인감도장, 인감증명서, 주민등록초본 등
🔺️ 매수인
   * 신분증, 도장, 주민등록등본 등




💢 다음은 기존 아파트 매매시 계약금 비율과 지급방법 및 지급시점, 주의사항 입니다.




  ● 아파트 매매 시 계약금은 매매 계약의 성립을 증명하고, 계약 해제 시 위약금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


📌 1. 계약금 비율

🔺️ 법적으로 정해진 비율은 없으며, 통상적으로 매매 대금의 10%를 지급합니다.
🔺️ 매도인과 매수인의 합의에 따라 비율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.
  🔺️ 부동산 시장 상황, 매물 특성 등에 따라 5%~20% 범위에서 결정되기도 합니다.
  🔺️ 부동산 상승장에는 매도인이 계약 파기를 방지하기 위해 높은 비율을 요구하기도 합니다.
   🔺️ 매수인은 계약 파기 시 손해를 줄이기 위해 낮은 비율을 선호할 수 있습니다.


📌 2. 계약금 지급 방법

  🔺️ 계좌 이체 :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며, 거래 내역이 명확하게 기록됩니다. 매도인 계좌의 예금주와 등기부등본상의 소유자가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  🔺️ 현금 : 현금 거래는 증빙이 어렵고 분쟁 발생 시 불리할 수 있으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
  🔺️ 어음 또는 수표 : 어음이나 수표는 추후 부도 위험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.


📌 3. 계약금 지급 시점

  🔺️ 매매 계약 체결 시 지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  🔺️ 계약 당사자 간 합의에 따라 지급 시점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.
   🔺️ 계약 체결 후 특정 날짜에 지급하거나, 분할하여 지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

📌 4. 계약금 관련 주의사항

🔺️ 계약서 명시 : 계약금 액수, 지급 방법, 지급 시점 등을 계약서에 명확하게 명시해야 합니다.
🔺️ 영수증 보관 : 계약금 지급 후 영수증을 받아 보관해야 합니다. 계좌 이체 시 거래 내역을 보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.
🔺️ 계약 해제 : 매수인이 계약을 해제하는 경우 계약금을 포기해야 합니다. 매도인이 계약을 해제하는 경우 계약금의 배액을 매수인에게 지급해야 합니다.
🔺️ 특약 사항 :
   ● 계약 해제 조건, 위약금 등에 대한 특약 사항을 명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.
   ● 부동산 계약을 진행하면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부분 중 하나인 중도금 관련 사항입니다. 중도금 지급 전까지는 양측 다 계약을 해제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중도금이 지급되면 양 당사자는 상호 합의가 없는 한,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제할 수가 없게 됩니다.




📌 참고 자료

찾기 쉬운 생활법령정보 : 부동산 매매 절차 https://www.easylaw.go.kr/CSP/OnhunqueansInfoRetrieve.laf?onhunqnaAstSeq=84&onhunqueSeq=2741

부동산/임대차 > 부동산 매매 절차 |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

부동산 매매 > 부동산을 매수하려 하는데 그 절차가 어떻게 되나요?

www.easylaw.go.kr


서울시 부동산 정보광장: 나홀로등기(매매시) https://land.seoul.go.kr:444/land/broker/selfRgistTrade.do

부동산중개업정보 > 나홀로등기(매매시)

매매로 인한 소유권 이전 등기란 - 부동산매매계약에 의하여 소유권을 이전하는 등기로, 이 신청에서는 매수인을 등기권리자, 매도인을 등기의무자라고 합니다. 절차요약 나홀로 등기(매매시)

land.seoul.go.kr:444




💥 아파트 매매 계약은 신중하게 진행해야 하며,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.

💥 아파트 매매는 큰 금액이 오가는 거래이므로 부동산 중개업소, 법무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여 안전하게 거래하시기 바랍니다.




도움이 되셨길 바라고 공감하는 분은 나가시면서 왼쪽 아래 ❤ 한번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


728x90
반응형
LIST